본문 바로가기

요리

밀가루 종류·특징·영양·건강과 활용법

반응형

밀가루 종류·특징·영양·건강과 활용법

 

밀가루는 전 세계 식문화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가공 곡물 제품입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된 밀 재배는 수천 년에 걸쳐 유럽·중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졌고, 빵·국수·과자·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현대에는 단순한 가루 식재료를 넘어, 글루텐 함량·분쇄도·가공 방식에 따라 수십 가지로 세분화되어 전문적인 요리에 맞춰 사용됩니다.

 

 

밀가루의 주요 종류와 특징

① 강력분

  • 단백질 함량: 11~13%
  • 글루텐 형성력: 매우 강함
  • 활용: 빵, 피자 도우, 베이글
  • 특징: 쫄깃한 식감과 탄력 제공

② 중력분

  • 단백질 함량: 8~11%
  • 글루텐 형성력: 중간
  • 활용: 국수, 만두피, 전, 쿠키
  • 특징: 다양한 요리에 범용으로 사용 가능

③ 박력분

  • 단백질 함량: 6~8%
  • 글루텐 형성력: 약함
  • 활용: 케이크, 머핀, 비스킷
  • 특징: 부드럽고 가벼운 식감 구현

④ 전립분

  • 정의: 밀의 외피·배아를 제거하지 않은 통밀가루
  • 영양: 식이섬유, 비타민 B군, 미네랄 풍부
  • 활용: 건강빵, 쿠키, 시리얼
  • 특징: 거친 질감, 소화 속도 느림

⑤ 특수 밀가루

  • 무글루텐 밀가루: 글루텐 불내증·셀리악 환자용
  • 강화 밀가루: 철분·비타민 강화
  • 셀프라이징 플라워: 베이킹파우더 혼합된 제품

밀가루 종류·특징·영양·건강과 활용법

영양 성분 (100g 기준)

  • 칼로리: 약 340kcal
  • 단백질: 10g 내외
  • 탄수화물: 70~75g
  • 식이섬유: 2~12g (전립분 기준)
  • 비타민: B1, B3, 엽산
  • 미네랄: 철, 마그네슘, 셀레늄

 

  • 긍정적: 에너지원, 단백질 공급, 식이섬유(전립분)로 장 건강 도움
  • 부정적: 과도한 정제밀 섭취 시 혈당 급상승·비만 위험, 글루텐 불내증 유발 가능

 

  • 2023년 Nutrients 발표 연구에 따르면, 전립분 밀가루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고 장내 유익균 다양성을 증가시킵니다.
  • Journal of Cereal Science 2022년 연구에서는 고단백 밀 품종이 혈당 반응을 완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글루텐 불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Clinical Gastroenterology, 2021)에서는 무글루텐 밀가루를 사용한 식단이 장 염증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빵·피자: 강력분 + 올리브오일 + 장시간 발효 → 풍미와 식감 극대화
  2. 국수·전: 중력분 + 소금물 반죽 → 쫄깃한 식감
  3. 케이크·쿠키: 박력분 + 냉버터 → 부드러운 조직
  4. 건강빵: 전립분 50% 이상 사용 + 견과류·씨앗 추가
  5. 글루텐프리 베이킹: 쌀가루·아몬드가루와 혼합

 

  • 밀폐 용기 보관, 서늘하고 건조한 곳 유지
  • 여름철에는 냉장 보관 권장 (벌레·곰팡이 방지)
  • 개봉 후 6개월 내 사용 권장
  • 전립분은 산화 속도가 빨라 개봉 후 2~3개월 내 소비

밀가루 종류·특징·영양·건강과 활용법

밀가루는 단순한 곡물 가루가 아니라, 단백질 함량·분쇄도·가공법에 따라 전혀 다른 요리 결과를 만드는 ‘맞춤형 재료’입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전립분과 다양한 곡물 가루를 섞어 쓰는 것이 좋으며, 최신 연구에서 제안하는 ‘고단백·저GI’ 품종 밀가루를 활용하면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